리모델링
SERVICE > Remodeling

Architectural exterior material

건축 외장재

환경 친화적 소재와 최신 기술을 적용해 지속 가능한 건축 외장을 구현합니다.

Exterior material

알루미늄 커튼월

알루미늄은 가벼움과 우수한 강도라는 상반된 요소를 함께 갖춰 고층 빌딩의 커튼월과 창호에 주로 사용 된다.

커튼월(curtain wall)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등의 건물에서 기둥, 보, 바닥 등 구조부의 외부를 수직 방향으로 막는 비내력벽을 일컫는다

알루미늄 무게

알루미늄은 무게가 가벼워 건물의 자중을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공장 제조 방식으로 공기가 짧 고, 품질 관리에 유리하다. 무엇보다 두께가 얇아 플라스틱 소재의 프레임보다 시각적인 개방감이 크다. 그러나 현장 가공에 의한 조정이 어렵고 평면적인 외관에는 유리하지만 비정형 외관에는 불리하다. 층고 가 높거나 풍압과 같은 수평 외력이 강한 경우, 알루미늄 프레임이 견디지 못하기도 한다. 또 기준 층고가 4,000mm 이상이면 보강재를 추가해야 한다.

Exterior material

현무암

현무암은 건축 외장재로 가장 많이 사용한다.
공극이 많아 청소하기가 어려워 실내 바닥재로 사용하기는 어렵지만 구멍이 아주 미세한 소공인 경우 실내도 사용가능하다.
건축이나 인테리어 조경 등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마감재로써 폭 넓게 사용되는 천연석이다.

장점

* 정수, 정화 능력이 탁월하다.!​
​ * 열전도율이 높아 갈라지거나 변형이 적다. ​
* 항균 기능과 방습효과가 우수하다.​
* 하중을 잘 견디고,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마모가 잘되지 않는다.

Exterior material

화강석

화강석 은 물성이 자체적으로 우수하여 연마 제품을 사용하여 고급스럽고 웅장한 느낌을 줍니다.

화강석(granite)

바람에 강하고 다양한 질 감 표현으로 건축물에서 내장재, 외장재 그리고 조각 등 여러 방면에서 사용합니다. 국내에서 건축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대체로 질감이나 색상, 무늬가 단조롭게 느껴집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칼라와 무늬의 화강석이 전 세계적으로 수입되어 다양한 패턴의 화강석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건물 외장재의 경우는 중국 화강석이 저렴하여 수입이 많이 이루어져 있어 국내산 화강석은 세계 시장 및 국내시장에 수출이 어렵기도 합니다.

가평석

산지는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색상은 백색을 뛰고 있습니다. 건축용 및  토목용으로 많이 사용이 되고 있으며 밝은 계열에 화강석을 쓰고 싶으시다면 가평석을 추천해 드리고 있습니다.

고흥석

산지는 전라남도 고흥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회색계열의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색상으로 인해 묘비나 조각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건축용 두겁석이나 포인트 용으로 많이 사용이 됩니다. 

포천석

산지는 경기도 포천에서 나옵니다. 국내에서 제일 인기있는 석종으로 석산은 국내에 총 4~5개가 운영이 되고 있다. 입자가 약간 핑크색끼가 있지만 국내산 1등 석종인 만큼 무시하기는 어려운 석종입니다. 

마천석

산지는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검정색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천석이라고 하면 검정색 계열로 오석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국내 마천석은 생산량이 많이 없어서 중국에서 수입한 씨블랙 차이나 블랙이라고 하는데 이것 조차도 어려워 검정색 계열의 석재는 염색돌을 많이 사용합니다.

Exterior material

청고벽돌

고벽돌은 오래된 건물을 철거할때 나온 벽돌을 수입한 점토벽돌 로서 세월이 흘러 보다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벽돌 특유의 아름다움과 중후함을 함께 준다.

청고벽돌 가격

고벽돌은 중국이나 베트남 등지에서 수입하는데 수량이 한정적이다 보니 가격대가 되려 일반 벽돌에 비해 비싼 편이긴 하다.

청고벽돌 색

고벽돌 중 붉은빛을 띠는 벽돌을 두어 고벽돌 이라하며 회색 또는 청색빛이 도는 벽돌을 청고벽돌이라 한다. 하여 굳이 붉은빛 고벽돌을 다시 홍고벽돌이라 하고 회색,청색빛의 벽돌을 청고벽돌 이라 칭하는 것이다.

Exterior material

라임스톤(limestone)

라임스톤(limestone)은 석회암으로 알려진 칼슘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외장재로 라임스톤은 특별한 물성 때문에 다양한 건축자재 분야에서 사용되며, 이번 강원도 산불에서 라임스톤 외장재를 사용해 집을 지켜낸 열에 강한 소재로 알려져 있다.

구성

라임스톤은 칼슘 카보네이트 함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칼슘 카보네이트는 고온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특별한 물성 때문에 다양한 건축자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라임스톤은 높은 온도에도 변형이 되지 않고 내성이 뛰어나 불에 대한 지속적인 연소를 막을 수 있어 산불 등 불이대한 피해에서 뛰어난 외장재로 잘 알려지고 있다

Exterior material

알루미늄 루버 / 패널(Aluminum panel)

판재를 얇게 재단하거나 압출해 만든 관재를 외벽에 고정한 것. 유리 커튼월 건물이나 일사량이 많은 공간에서 햇빛을 가리기 위해 사용한다

시공방식

바탕면에 접하는 경우와 분리하는 경우 두 가지로 구분한다. 루버의 위치마다 브래킷(bracket)을 설치하여 거는 방식과 긴결재(fastner)로 루버와 바탕면을 이격해 고정하는 방식이다. 바탕면 에 접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결재를 고정하고, 긴결재에 하지 철물을 설치한다.
패널은 두꺼운 알루미늄 판으로, 3mm 두께를 주로 이용한다. 두께가 두꺼울수록 절곡할 때 균열이 잘 생 긴다. 때문에 각을 접기보다는 곡면으로 구부리는 비정형의 디자인에 적합하며, 알루미늄 복합패널은 폴리에틸렌을 심재로 하고 양쪽에 0.5mm 두께의 알루미늄 박판을 붙인 복합재료다.